목차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8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2018년 04월 2018년 03월 2018년 02월 2018년 01월 2017년 12월 2017년 11월 2017년 10월 2017년 09월 2017년 08월 2017년 07월 2017년 06월 2017년 05월 2017년 04월 2017년 03월 2017년 02월 2017년 01월 2016년 12월 2016년 11월 2016년 09월 2016년 08월 2016년 07월 2016년 06월 2016년 05월 2016년 04월 2016년 03월 2016년 02월 2016년 01월 2015년 12월 2015년 10월 2015년 09월 Search 242016년의 순간들 - Humanism, CHA262016년의 순간들 - Enjoy, CHA Life272016년의 순간들 - Connect to U282016년의 순간들 - Global Network, CHA04우리 아이 첫 번째 밥상 시기별 이유식06최근 부상한 난임의 원인 만성 자궁내막염08출산의 고통만큼 아파요 요로결석10폐경 이후 여성들에게 흔한 골반 장기 탈출증12간밤에 푹 주무셨나요 ? 숙면의 중요성14때론 단호하게, 때론 지혜롭게 연말 술자리 생존법16라이프 사이클에 맞춘 3060 여성을 위한 건강검진18국내 최초로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의 약물 치료에 성공한 - 혈액종양내과 오도연 교수19시간에 따른 담도 스텐트 막힘 기전 규명 -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권창일 교수20골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단백질이 동시에 도입된 나노 입자의 줄기 세포 내 신호 전달체계 조절에 관한 연구22제4회 차광렬 줄기세포상 수상자 예루살렘의 젊은 의학자 요시 부가님(Yossi Buganim)30배양실, 여기선 화장도 안 한다고요 ? 서울역센터와 비밀의 방32차병원엔 산부인과만 있다 ? 차병원, 진실 혹은 거짓34강남차병원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입원, 혼자서도 괜찮아36CHA Hollywood Presbyterian Medical Center Receives Prestigious Award37분당차여성병원 백지수 간호사 LA 차 할리우드 장로병원 연수기38반짝반짝 빛나는 차 의과학대학교의 인재들40차 의과학대학교 제3회 자선 미술 전시회 난치병 이웃에게 사랑을, 기부자에게 행복을42푸른 산의 전설 - 차움 산악회44‘아름다운 동행’ 후원의 집을 찾아서44협력병원 - 파티마요양병원46의학적 궁금증, 차병원에 물어보세요0312월, 차병원 가족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핫뉴스48그룹소식50주간행사50이달의 인물과 화제 함께 만드는 사람들Publisher : 김춘복 Editor in Chief : 차원희 Editorial Director : 김세진Associated Editor그룹 마케팅커뮤니케이션팀 : 이나래 계장분당차병원 : 박지은 계장강남차병원 : 홍은영 계장차움 : 이서윤 계장 구미차병원 : 최문훤 계장대구차여성병원 : 박재천 과장, 이나영 사원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 이광명 계장차의과학대학 : 윤재민 과장, 이설희 사원, 노하정 사원LA 할리우드 장로병원 : 윤여경그룹 홍보실 : 이정미 실장, 이영호 과장, 신일환 계장, 채희형 주임, 강서영 사원Translation : 글로벌마케팅팀Photographer표지_ab스튜디오, 내지_봄스튜디오Editorial Design차케어스교정 · 교열박미경Printing팩컴코리아(주)* 차병원 사보에 게재된 기고가의 글은 차병원의 공식적인 의견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Mom&baby·Health골반 장기 탈출증폐경 이후 여성들에게 흔한 골반 장기 탈출증 ‘밑이 빠지는 병’으로 더 잘 알려진 골반 장기 탈출증은 우리나라 성인 여성 10명 중 3명이 앓고 있을 만큼 흔한 병이다. 문제는 수치심 때문에 병을 숨기거나 진료를 미루다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것이다. 밑이 빠질 것 같은 묵직함이 느껴진다면, 골반 장기 탈출증 50대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는 골반 장기 탈출증의 초기 증상은 ‘밑이 빠질 것 같은 묵직한 느낌’으로 설명할 수 있다. 뭔가가 아래로 잡아당기는 듯한 느낌과 압박감, 늘 하복부가 묵직한 느낌 등이다. 일반적으로 누워 있을 때 편해지고 아침보다는 오후에 심하며, 오랫동안 서 있거나 걷는 경우, 무거운 것을 갑자기 들 때 심해진다. 증상이 악화되면 골반 장기가 서서히 내려앉으면서 질을 통해 빠져나온다. 심한 경우 어른 주먹만 한 크기의 장기 덩어리가 양쪽 다리 사이에 매달려 있는 사례도 있다. 이때는 걸을 때뿐 아니라 앉을 때도 불편함을 느끼며 바지를 입기도 힘들어지고, 질이나 자궁경부에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화장실에서 더욱 고통스러운 병 골반 장기 탈출증에는 두 종류가 있다. 자궁 앞쪽에 위치한 방광이 내려앉는 방광류(전방 구조 탈출증)와 자궁 뒤쪽의 직장이 내려앉는 직장류(후방 구조 탈출증)다. 종류는 다르지만 화장실에서 고통을 느낀다는 점은 비슷하다. 전방 구조 탈출증의 경우 방광의 위치가 움직이면서 요도가 꺾여 소변을 시원하게 볼 수 없는데, 배출하는 소변량이 적으므로 금세 다시 화장실을 찾아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반대로 후방 구조 탈출증은 대변을 시원하게 볼 수 없게 되면서 계속 뒤가 무거운 느낌을 받는다. 장기는 왜 탈출하는가 ? 골반 장기 탈출증은 출산을 많이 한 여성이 노화를 겪으며 골반과 장기가 느슨해질 때 주로 발병하고, 과체중인 경우 발병 빈도가 높다. 간혹 젊은 여성에게서도 증상이 발견되는데, 난산 후 제대로 회복을 하지 못했거나 골반이 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천식·만성 기관지염·기관지 확장증 등으로 인해 기침을 많이 하는 사람도 이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통계가 있다. 증상이 약할 경우 케겔 운동이 도움, 심하면 수술이 근본 치료 증상이 아주 약한 경우에는 골반 근육을 강화하는 ‘케겔 운동’으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평소 틈날 때마다 항문 개폐를 조절하는 근육인 항문거근과 괄약근에 힘을 주었다 뺐다 하며 근육을 강화하면 골반 장기 탈출증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정도가 심한 경우 ‘페서리’라는 기구를 삽입해 자궁을 제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취 없이 간단히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과 동시에 탈출증이 교정되어 편리하다. 다만 사람에 따라 페서리가 잘 맞지 않을 경우 저절로 빠질 가능성이 있고, 장기간 사용하면 염증이 생기거나 분비물의 양이 늘어나는 불편함도 있다. 골반 장기 탈출증이 심한 사람이라면 수술 치료가 가장 확실한 치료법이다. 손상된 자궁 구조를 확인해 이를 교정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탈출된 자궁을 적출하는 치료법도 시행한다. 쭈그려 앉는 자세 피하고 호흡기 질환, 변비 등 미리 치료 골반 장기 탈출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무엇보다 쭈그려 앉아 빨래를 하거나 청소하기, 무거운 시장 바구니 들기 등과 같이 복압을 상승시켜 골반 근육을 약화시키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주위의 도움을 받거나 간이 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복부 지방이 많을 때도 복압이 올라가므로 뱃살을 줄이고 표준 체중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기침이 잦은 경우에도 적절한 치료로 빨리 멎게 해야 한다. 김현철 교수 자궁질탈출증, 요실금, 폐경기, 자궁근종, 복강경수술, 로봇수술 전문분당차여성병원 산부인과031-780-5290 | bundangwoman.chamc.co.kr 강남차병원 분당차병원 구미차병원 / 대구차여성병원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목록